1. AWS EC2 서비스 가입
1-1. 인스턴스 생성을 위한 전처리 단계
- Region(지역) : 아시아 태평양(서울) 선택
- 키페어를 .pem 형식으로 생성 / 이때 생성한 키페이는 인스턴스에서 사용하므로 잘 저장해둘 것
2. 인스턴스 생성
- 원하는 이름 입력
- AMI : Amazon Linux 2023 AMI
- 아키텍처 : 64비트(x86)
- 키페어 : 1-1에서 만든 키페어 선택
- 인스턴스 유형 : t2.micro
- 인스턴스 개수 : 1
- 네트워크 설정, 스토리지 구성 : 기본 선택 그대로
3. 보안그룹 설정
- 보안그룹에 들어가서 인바운드 규칙을 선택한 다음 "인바운드 규칙 편집" 을 누른다.
- 규칙 추가 누른 다음
- 유형은 "HTTP", 소스 "Anywhere-IPv4", 그 옆 돋보기 있는 빈칸엔 "0.0.0.0/0" 입력한 다음 규칙 저장 누른다.
4. 인스턴스 연결
- 인스턴스로 돌아가서 실행하고자 하는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위에 연결 버튼을 누른다.
- 인스턴스가 중지된 상태라면 우클릭을 해서 '인스턴스 시작' 을 먼저 눌러준다.
- 연결을 하면 리눅스 창이 뜨게 되는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.
5. 리눅스 명령어 입력
- " " 안에 있는 명령어 입력. ( "" 는 제외하고 입력한다.)
- " sudo su - " : Root 계정으로 전환
- " yum install httpd -y " : Web 서비스 설치
- " systemctl start httpd " : Web 서비스 실행
- echo "<h1>Hello World.</h1>" >/var/www/html/index.html : 명령어로 웹페이지 생성
6. 웹페이지 들어가기
- 리눅스 창을 닫고 이전 창으로 돌아가서
퍼블릭 IPv4 DNS 에 생성되는 주소창으로 들어가면 5번에서 생성한 웹페이지가 보인다.
7. 인스턴스 종료
이후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는 추가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"인스턴스 종료" 를 통해 인스턴스를 삭제한다.
'개발 > TIL :: 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asticSearch _ 작성 중 (0) | 2024.09.03 |
---|---|
Spring Security Config 관련 (Youtube 개발자 유미님 강의 참고) - 작성중 (0) | 2024.08.09 |
MVC 패턴 (1) | 2024.08.09 |
깃 브랜치 별로 다른 로컬 폴더 만들기 (0) | 2024.08.04 |
230610 파이썬 array, 프로그래머스 정렬 K번째 수 (0) | 2023.06.10 |